글
인천항 갑문
인천항
서울의 관문이며, 국내 최대 공업지대의 하나인 경인공업지대와 중부지방을 세력권으로 하는 서해안 제일의 무역항이다. 8개의 화물취급 전용부두가 있으며, 연간 3464만 톤의 하역능력을 보유하고 있다. 외항에서는 유류와 연안 해사(모래), 무연탄 등을 주로 취급하고 있다. |
▽ 갑문의 원리를 설명한 표지판
Dock이란 선거(船渠)라고도 한다. 사전적 정의는 선박을 건조,수리하기 위해서 조선소,항만 등에 세워진 시설이라고 되어있다. 쉽게 말하면 배를 주변이 막힌 곳에 넣고서 물을 빼고 넣을 수 있도록 하는 구조를 말한다.
조차가 매우 크게 나타나는 해안(예- 황해)에는 항구를 건설하려면 조차를 극복할 수 있는 시설이 필요한데, 수문식 독이 대표적인 시설이다. 썰물이 시작되면 수문을 닫아서 수문 안쪽의 도크에서는 수위의 변화가 없어서 배가 안전하게 정박할 수 있게 한 시설이다.
갑문 또는 수문이라는 것은 배가 도크에 들어온 뒤 바닷물의 움직임을 막기 위한 문을 뜻하는 것으로 인천항의 경우에는 슬라이딩 식으로 되어있다. 인천항의 내항과 외항을 갑문과 도크로 막아 격리시킴으로써 서해안의 큰 조수간만의 차로 인한 해수면의 높이변화에 영향을 받지 않게 하는 원리이다. 외항에서 인천항의 내항으로 들어올 때는 배가 들어오기 전에 갑문을 닫아둔 상태로 도크내의 해수면이 황해의 해수면과 같아지도록 물을 빼거나 넣거나 해서 조절한다. 그렇게 조절이 되면 갑문이 열리고 배가 도크 안으로 들어가게 되는 원리이다. 배가 도크 안으로 들어간 후 황해쪽의 갑문이 닫히고 다음엔 인천항의 해수면과 도크의 높이가 같아지도록 해수면을 조정한 뒤 수면높이가 같아지면 인천항 쪽의 갑문을 열고 배는 인천항으로 들어가게 된다. 내항의 도크는 동양 최대이며, 세계에서 3번째로 크다. 갑문은 모두 2개인데, 하나는 5만톤급 선박 1척이, 하나는 1만톤급 배가 드나들 수 있도록 건설되었다. |
△ 우리가 인천항 갑문식 부두에 도착했을 때는 이미 한척의 배는 내항으로 들어갔고 다른 한 척의 배가 외항에서 들어오던 중이었다. 운 좋게도 갑문이 열리는 것과 닫히는 것 모두를 관찰할 수 있게 된 것이다!
△ 닫혀있는 갑문
△ 배가 독(dock)안에 완전히 들어오게 되자 외항측 갑문이 닫히고 있다. 닫히는 것은 동영상으로 촬영 완료 - !
△ 저렇게 깃발을 꽂아두는 것은 '지금 검역중인 배입니다.'라는 뜻이라고 했다.
△ 검역이 끝나서 내항측 갑문이 열리기 시작했다.
△ 이 때 한 아저씨가 자전거를 타고 발랄하게(?) 등장하셔서는 배를 묶어놨던 밧줄을 푸셨다. 배의 모든 일정을 담당하는 꽤 중요직을 맡고 있는 분이시라 하셨다
△ 배는 서서히 내항으로 들어간다 - 안녕!
그나저나 이런 식으로 매번 하는 것은 무척 시간이 많이 걸리겠다는 생각을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