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
두무진
두무진은 백령도 북서쪽 약 4km의 해안선을 따라 늘어선 높이 50 ~100m의 거대한 절벽들을 말한다. 두무진은 원래 뾰족한 바위들이 마치 머리털같이 생겼다고 하여 두모진이라고 불리다가 후에 장군들이 줄지어 서 있는 모습과 같다고 하여 두무진이라고 불리게 되었다고 한다. 백령도의 서북단 해안에 위치하는 두무진은 황해도의 서쪽 끝인 장산곶과 불과 12km 밖에 떨어져 있지 않다. 두무진은 수억년동안 파도에 의하여 이루어진 병풍같은 깎아 지른 듯한 해안 절벽과 가지각색의 기암괴석이 솟아 있어 동해의 금강산 만물상과 비슷하여 일명 해금강이라고 불리고 있다.
두무진은 원생대 상원계에 속하는 약 10억년 전 해빈 환경에서 오랜 세월 퇴적된 사암이 지하 깊은 곳에서 고열과 고압에 의해 변성된 규암으로 이루어져있다. 지하 깊은 곳에 있던 두무진 지층은 이후 지속적으로 지반이 상승하면서 파도와 비바람에 의해 집중적인 침식과 풍화를 받아 깎여나갔다. 이런 과정을 반복항 기암의 형태로 점차 육상에 드러나게 되었다. 일반적으로 바다에서 퇴적이 이루어질 때 입자가 고운 점토와 셰일등은 먼 바다까지 떠밀려나가 쌓인다. 반면 입자가 굵은 모래나 자갈은 해안가나 얕은 바다에 퇴적된다. 두무진 하부의 퇴적물은 먼 바다에서, 상부의 모래층은 해빈 환경에서 퇴적된 것으로 보고 있다.
또한 연흔이 나타나는 것으로 보아 조수의 영향이 있었음을 짐작해 볼 수 있다. 따라서 두무진 규암층의 퇴적 환경은 바닷물이 빠지고 드나드는 해안가의 모래 평원으로 보고 있다.
퇴적층에는 높이 4.5~ 5m 간격으로 다른 색이 번갈아 나타난다. 이런 형태로 퇴적된 것은 주기적인 해수면 변동과 관련된 것이다. 퇴적층 가운데 짙은 색의 층은 물이 차오르는 습한 환경에서, 옅은 색의 색의 층은 물이 빠진 건조한 환경에서 퇴적되었다. 두무진에는 홍도나 거제도의 해금강의 기암괴석과는 달리 층상암벽에 코끼리바위, 장군바위, 신선대, 선대바위, 형제바위 등 온갖 모양이 조각된 바위가 서로 조화를 이루어 홍도와 부산 태종대를 합쳐 놓은 듯한 절경이다. |
▽ 유람선 위에서 본 두무진
▽ 가까이서 본 두무진
(+) 4시간 동안의 항해에 너무 지쳐있었지만, 또다시 유람선에 올라 두무진을 보았다. 여전히 배멀미에 고생하는 학우들도 있었지만...뭐, 좋은 경험이었다. 친절하고 재밌는 설명도 들을 수 있었고! 그리고 다시 버스로 이동해서 가까이에서 두무진을 만났다. 저물어가는 해 덕분에 규암이 눈부시게 빛났다.
마지막 사진은 연흔! 물결무늬가 바위위에 나타나는 게 너무 신비롭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