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백나무 자생 북한지

답사/09 인천 2013. 2. 27. 21:46

 

 

  동백나무 자생북한지 천연기념물 제 66호

 

  동백나무는 차나무과에 속하는 상록교목으로 우리나라 해안지대를 따라 분포하고 수고는 7m에 이르며 일본 및 중국에도 분포하고 있다. 줄기가 평활하고 잎은 타우너형이고 표면은 진한 녹색이고 광택이 있으며 잎 뒷면은 담록색이다.
  2~4월에 붉은 꽃이 피고 꽃잎은 펴지지 않는다. 꽃의 앞술대는 3개로 갈라지고 열매는 삭과로 둥글고 9~11월에 익는다. 대청도의 동백나무는 명칭이 말하듯이 자생북한지라는데 그 뜻이 부여되고 있다. 약 60년전의 기록에 의하면 줄기목지름이 20cm에 이르는 나무가 147그루나 있었다고 되어 있는데 지금은 그 숫자가 크게 줄어들고 있다. 동백나무는 상록활엽수종으로 상징되는 난대림의 구성분자로서 전세계의 식물구계를 설정할 때 표식종으로  되고 있다.

 

 

 

 

 

 

(+) 동백나무는 난대림의 대표적인 수종이므로, 대청도에서 만나기엔 굉장히 어색하다는 생각이 들었지만 대청도도 어엿하게 동백나무가 살아가는 섬이었다. 이 곳에서 좀 더 북쪽 지방으로 올라가면 더 이상 동백나무는 만나지 못한다. 지구 온난화가 계속 되면 의미없는 표지판이 될 수도 있겠지만.

 

'답사 > 09 인천' 카테고리의 다른 글

지두리해안  (0) 2013.02.27
옥죽동 해안사구  (0) 2013.02.27
농여해안  (0) 2013.02.27
사자바위 (이구아나 바위)  (0) 2013.02.27
콩돌해안  (0) 2013.02.27

설정

트랙백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