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
선교장
중요 민속 문화재 제5호. 조선시대의 상류계층이었던 전주 이씨 일가의 삶터였다. 그러한 선교장은 배다리골 깊은 곳에 위치하고 있다. 선교장 인근에는 강이 싣고 온 많은 토사들이 쌓여서 크기가 줄어들었지만 한때 오죽헌에서 강릉대학까지 이르는 30리의 길이가 되는 긴 석호였던 강릉의 북쪽 경포호, 서해안 보다 따뜻한 동해안의 성격을 증명할 수 있으며 대나무의 북방한계선에 위치하여 무성한 대나무 숲이 있는 오죽헌이 있다.
선교장의 건물은 우리나라의 계절별 특색을 반영하듯 추운 겨울을 나기위한 따뜻한 온돌방과 무더운 여름을 피하기 위한 대청이 설치되어있다. 선교장의 가옥구조는 강원도 강릉지방의 상류층의 가옥형태인 ㅁ자모양의 가옥으로 되어있다. ㅁ자모양의 가옥구조 안에는 ㄱ자모양의 안채와 ㄴ자모양의 사랑채로 구성이 되어있다. 지금의 선교장이라는 이름은 이 지역의 옛 지명인 '배다리'에서 유래한 것이다. 과거에 30리의 길이가 되었던 경포호를 건너기위해서 배를 타고 건넌다고 하여 배다리 마을이라고 불렸던 데서 유래한 것이다.
선교장은 1756년부터 1938년까지 쉴 새 없이 가옥의 구조와 크기가 점차적으로 크게 변화해 왔었고 그 결과 선교장은 강원도지방의 상당부분의 땅을 소유하는 정도의 부자가 사는 곳이라는 소리를 듣는 정도로 변화해왔다. 선교장은 그만큼 커졌고 그로인해 과거의 강릉사람들은 선교장을 '아흔 아홉 칸의 집'이라고 불렀었다. 하지만 지금은 쉰다섯 칸만이 남아있어 안타깝다. 선교장 인근에는 위에서 설명했던 경포호와 오죽헌을 비롯하여 안목항, 참소리박물관, 허균의 생가, 율곡 영정을 모신 문성사 등이 위치하여 많은 볼거리를 제공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