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만금 전시관

답사/09 전라 2013. 2. 24. 15:25

 

 

 

새만금의 명칭은 1987년 11월2일 당시 정인용부총리 주재로 관계장관회의에서 황인성 농림수산부 장관이 처음으로 서해안 간척사업을 '새만금'간척사업이라는 이름으로 공식사용되었다.
 
1. 만경평야의 '만', 동진강 유역 김제평야의 '금'을 채택했고, 매립되는 지형이 (만경강과 동진강 하구를 꼬리로 하고 방조제 모서리부분에서 고군산군도의 섬과 연결되는 지점을 머리로 했을때) 마치 날아가는 새의 모양과 같다고 해서 붙여진 이름이다.
 
2. 오래전부터 옥토로 유명한 만경, 김제평야와 같은 옥토를 새로이 일구어 내겠다는 의미
(사전적 풀이 '만금' : 썩 많은 돈이나 소중한 것)

 

 

*새만금 특별법
 원래의 새만금 간척지는 농지확장을 주목적으로 하였지만, 이명박정부는 새만금 특별법을 통해 새만금 내부토지 이용방안을 변경하였다. 특별법은 우선 사업목적을 '농업 위주'에서 관광과 환경 물류 중심의 '첨단복합 용지 개발'로 변경했다. 확정안에 따르면, 전체 간척지의 39%는 산업, 관광, 에너지, 환경 등 비농업 분야, 30%는 농업에 배정하고, 나머지 27%는 구체적 수요가 확인될 때까지 용도를 정하지 않은 채 남겨두기로 했다. 지난 참여정부가 발표한 토지이용계획에서 농업 용지가 71.6%을 차지했던 것과 비교하면 비중이 절반 이하로 축소됐으며 이전의 개발안에 비해 산업 관광, 에너지 환경 용지가 확대됐다.
  정부는 "새만금 사업의 취지와 변화된 현실을 반영해서 검토해나가겠다"며 새만금 위원회를 발족하고 2020년까지1단계 사업의 세부 계획을 다루기로 하였지만 사업 구상 변화에 대한 환경, 농민 단체의 반발로 논란은 계속 되고 있다.
 

 

 

 

 

 

 

 

 

 

 

▽ 방조제

 

 

 

 

 

 

 

'답사 > 09 전라' 카테고리의 다른 글

광활면  (2) 2013.02.24
계화도 간척지  (0) 2013.02.24
채석강  (0) 2013.02.24
곰소염전  (0) 2013.02.24
군산 철길마을  (0) 2013.02.24

설정

트랙백

댓글